프로그래밍에서 작은 객체를 생성하는 것은 클린코드의 핵심 원칙 중 하나입니다. 이는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며, 코드의 복잡성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작은 객체 생성의 중요성,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실제 예제를 통해 이 개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작은 객체 생성의 중요성
작은 객체는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테스트와 유지보수를 쉽게 만들어줍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는 데이터와 그 데이터를 처리하는 메서드를 함께 캡슐화합니다. 하지만 모든 객체가 동일한 크기를 가지지는 않습니다. 작은 객체는 단일 책임 원칙(SRP)을 따르며, 특정 기능에 집중합니다.
이러한 작은 객체들은 코드의 모듈성을 높이고, 재사용성을 증가시킵니다. 복잡한 객체를 작고 명확한 단위로 나누면, 코드의 수정이 필요할 때 영향을 받는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작은 객체는 코드의 가독성을 높여 개발자들이 코드를 더 쉽게 이해하고,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작은 객체의 이점
- 단일 책임 원칙(SRP): 작은 객체는 단 하나의 책임만을 가지므로, 변경의 영향을 최소화합니다.
- 가독성 향상: 코드의 각 부분이 작고 명확하여 이해하기 쉬워집니다.
- 테스트 용이성: 작은 객체는 테스트하기 쉬워, 버그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 재사용성 증가: 잘 정의된 작은 객체는 다양한 상황에서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 유지보수성 향상: 코드 변경 시 영향을 받는 범위가 줄어들어, 유지보수가 수월해집니다.
작은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
작은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원칙과 기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다음은 작은 객체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데 유용한 방법들입니다.
1. 단일 책임 원칙(SRP)
단일 책임 원칙은 클래스나 모듈이 단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작은 객체는 특정 책임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 원칙을 자연스럽게 따르게 됩니다. 예를 들어, 고객 정보를 저장하는 Customer
객체와 주문 처리를 담당하는 Order
객체는 서로 다른 책임을 가지므로 별도의 객체로 구현해야 합니다.
2. 객체 분해
복잡한 객체를 작은 객체로 분해하는 것은 클린코드의 핵심입니다. 예를 들어, Employee
객체가 급여 계산과 같은 여러 책임을 가진다면, 급여 계산을 담당하는 별도의 SalaryCalculator
객체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Employee
객체는 단순히 직원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만 하게 됩니다.
3. 명확한 인터페이스 정의
작은 객체는 명확한 인터페이스를 가집니다. 각 객체는 자신이 제공하는 기능에 대해 잘 정의된 메서드를 가지며, 다른 객체와의 상호작용을 명확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PaymentProcessor
객체는 결제 처리와 관련된 메서드만을 가지고, 결제 처리와 관련된 작업을 모두 담당합니다.
4. 불변 객체 사용
불변 객체(Immutable Objects)는 생성된 후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 객체입니다. 불변 객체를 사용하면 코드의 복잡성을 줄이고,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Date
객체를 불변으로 만들어 날짜를 변경할 수 없게 하면, 날짜와 관련된 작업이 간단해지고 예측 가능한 코드가 됩니다.
5.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은 객체가 필요한 의존성을 외부에서 주입받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추고, 작은 객체를 쉽게 테스트하고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OrderService
객체가 PaymentProcessor
객체에 의존할 때, PaymentProcessor
를 외부에서 주입받아 객체 간의 결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작은 객체 생성의 실제 예제
예제: 간단한 은행 계좌 시스템
은행 계좌 시스템을 예로 들어 작은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아래의 예제에서는 Account
, Transaction
, AccountManager
와 같은 작은 객체를 정의하여 은행 계좌 시스템을 구현합니다.
class Account:
def __init__(self, account_number, balance):
self.account_number = account_number
self.balance = balance
def deposit(self, amount):
if amount > 0:
self.balance += amount
def withdraw(self, amount):
if 0 < amount <= self.balance:
self.balance -= amount
class Transaction:
def __init__(self, from_account, to_account, amount):
self.from_account = from_account
self.to_account = to_account
self.amount = amount
def execute(self):
self.from_account.withdraw(self.amount)
self.to_account.deposit(self.amount)
class AccountManager:
def __init__(self):
self.accounts = {}
def add_account(self, account):
self.accounts[account.account_number] = account
def transfer(self, from_account_number, to_account_number, amount):
from_account = self.accounts.get(from_account_number)
to_account = self.accounts.get(to_account_number)
if from_account and to_account:
transaction = Transaction(from_account, to_account, amount)
transaction.execute()
코드 분석
Account
객체: 계좌 정보를 저장하고, 입금과 출금을 처리합니다.Transaction
객체: 계좌 간의 거래를 처리합니다.AccountManager
객체: 계좌를 관리하고, 거래를 수행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은 객체를 사용하면, 각 객체가 단일 책임을 가지고, 코드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집니다.
결론
작은 객체를 생성하는 것은 클린코드의 핵심입니다. 단일 책임 원칙을 따르고, 객체를 잘 정의하면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이 글에서 제시한 방법과 예제를 참고하여, 여러분의 코드에서도 작은 객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세요.
FAQ
Q1: 작은 객체를 생성하는 주요 이점은 무엇인가요?
작은 객체는 단일 책임 원칙을 따르며,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고, 테스트를 용이하게 만들어줍니다.
Q2: 어떻게 객체를 분해하나요?
복잡한 객체의 책임을 분석하고, 각 책임을 독립적인 객체로 분해합니다. 예를 들어, Employee
객체의 복잡한 기능을 별도의 객체로 나누는 방식입니다.
Q3: 불변 객체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불변 객체는 생성 후 상태를 변경할 수 없는 객체로,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예측 가능한 동작을 보장합니다. 예를 들어, 날짜와 같은 변하지 않는 데이터를 표현할 때 유용합니다.
해시태그
#클린코드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개발 #객체지향프로그래밍 #단일책임원칙 #객체분해 #의존성주입 #불변객체 #코드유지보수 #테스트용이성 #프로그래밍팁 #코드가독성 #작은객체 #소프트웨어디자인 #프로그래밍원칙 #코드리팩토링 #소프트웨어품질 #객체지향설계 #개발자팁 #코드정리 #클린코드원칙 #프로그래밍기술 #소프트웨어개발방법론 #코드모듈화 #개발베스트프랙티스 #클린코드개념 #프로그래밍언어 #소프트웨어최적화 #코드디자인
[쉽게 배우는 튼튼한 프로그래밍 방법론] - 클린 코드 방법론, 기본형 집착 (Primitive Obsession)
[쉽게 배우는 튼튼한 프로그래밍 방법론] - 클린 코드의 핵심, 동적 속성 제거
[쉽게 배우는 튼튼한 프로그래밍 방법론] - 클린코드 방법론, 객체의 난장판 방지